포튜브(FOR)은 포스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자산 은행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포튜브는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이며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과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하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 플랫폼으로 알려져 있다. 포튜브 디지털 자산은 포튜브 플랫폼의 유틸리티 토큰으로서 거버넌스 참여, 대출서비스 참여와 스테이 킹 보상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이제부터 포튜브에 대하여 알아본다.
포튜브(FOR) 코인 소개
포튜브의 심볼은 FOR이며 총 발행 한도는 1,000,000,000 개다. 2022년 9월 1일 기준 시가총액은 약 167억 원으로 규모는 상당히 작은 코인에 속한다. 포튜브는 위에서 간단히 설명드린 거와 같이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으로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를 노리는 플랫폼이다. 포튜브(FOR)는 스마트 계약 및 자동화된 알고리즘 기술을 기반으로 암호화 자산의 예치 및 차용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즉 사용자는 자산을 예치하여 이자를 얻거나, 자산을 빌리기 위해 이자를 지불해야 하는 방식이다. 언제든지 입금 및 출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전 세계에서 언제든지 빌리고 상환할 수 있고 이자율은 플랫폼의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코인의 보유자는 포튜브의 거버넌스 제안에 대한 투표에 참여하고 안정성 조성 및 글로벌 부채 경매와 같은 사항에 대해 참여할 수 있다고 전해진다. 포튜브(FOR)는 개인과 기업에 암호화 투자, 금융 및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여 암호화 금융 비즈니스의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금융에 친해지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튜브(FOR) 특징
포튜브는 2020년 9월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에서 분산 금융 서비스를 출시하였는데 현재 포튜브에서 제공하는 제품군은 다음과 같다. 먼저 포튜브 뱅크이다. 포튜브 뱅크는 알고리즘에 의해 구동되는 고정 및 동적 이자율을 가진 대출 프로토콜로써 언제든지 출금은 물론 대출 및 반납을 지원한다. 블록체인 시스템에 배치된 자동 절차(스마트 계약)를 통해 투자자는 신속하게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차용자는 적절한 담보(암호화폐)를 제공한 후 빠르고 쉽게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음 특징으로는 포튜브 본드이다. 포트뷰 본드는 고정된 기간과 이자율의 채권 금융 프로토콜로써 원스톱 암호화 디지털 채권 발행 및 투자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는 ETH 및 기타 주류 자산을 담보로 채권을 발행할 수 있으며 해당 고정 기간 채권에 투자하여 투자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포튜브(FOR)는 포튜브서비스 요금의 20%가 매월 소각된다고 한다. 포튜브는 단순히 디지털 자산 은행처럼 보이지만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생태계에도 진출하여 다양한 방향성을 가진 코인이라 할 수 있다. EHA, BSC 및 OEC를 포함한 다중 체인을 지원하며 앞으로 더 많은 크로스 체인 자산을 지원할 예정이라 하는데 계속되는 업데이트 소식은 트위터, 네이버 공식 블로그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포튜브(FOR)의 평가 및 전망
포튜브는 다양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제일 많은 거래가 이루어지는 곳은 한국의 업비트이며 바이낸스, 후오비 등 다양한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가 진행 중에 있다. 앞서 말했듯이 시가총액은 다소 작은 규모에 속한다. 업비트에서는 비트코인 거래소에만 상장되어 있는데 최근 다양한 거래소에 상장하고 있으며 거래량이 많은 업비트의 원화 마켓에도 상장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포튜브는 디파이 순위가 120위권이지만 생각보다 저평가받고 있다는 느낌이 드는 코인이다. 하지만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업비트 원화 상장, 폴카닷 등 다른 생태계와의 협력, 홍콩 금융 라이선스 취득)가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상당히 큰 폭의 가격 상승을 기대해봐도 되지 않을까 기대된다. 물론 모든 코인이 그렇듯 비트코인의 흐름을 파악하는 게 제일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포튜브는 중국 코인이다. 중국이라서 아쉬운 것이 아니라 현재 중국은 암호화폐시장을 규제하고 있다. 뛰어난 인력들이 자신의 역량을 다 펴지 못하고 당국의 규제 아래서 움츠리고 있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연준 빅스텝 가능성 "기준금리 6%시대" (0) | 2023.03.10 |
---|---|
파워렛저(POWR), 에너지 거래 플랫폼 (1) | 2022.09.05 |
스택스(STX), 미국 역사상 최초의 SEC인증 토큰 (2) | 2022.08.29 |
무비블록(MBL), 참여자 중심의 영화 생태계 (0) | 2022.08.25 |
엔진(ENJ), 게임 개발자들을 위한 서비스 (1) | 2022.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