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비블록(MBL)은 영화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중앙화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탄생한 블록체인 기반 P2P 영화 배급 플랫폼으로 알려져 있다. 영화 제작 및 유통과정을 탈 중앙화하고 참여자들에게 플랫폼 기여도에 따른 다양한 보상을 제공한다. 지금부터 무비블록에 대하여 알아본다.
무비블록(MBL) 소개
무비블록 코인의 심볼은 MBL이며 총 발행한도는 30,000,000,000개 이다. 2022년 8월 24일 기준 시가총액은 약 770억으로 추정된다. 콘텐츠 생산 및 중개라는 연관 인덱스에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무비블록 코인은 무비블록 생태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제 활동의 주요 매개체로 활용된다. 무비블록은 참여자 중심의 영화 생태계라고 말할 수 있다. 창작자는 무비블록에서 공평한 상영의 기회, 투명한 수익, 시청 통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관객은 다양한 콘텐츠를 즐기며 자막 제작 등의 활동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영화제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무비블록이 가진 다양한 SNS 채널을 이용해 더 큰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한다.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등 다양한 채널을 한국어 및 영어, 중국어로 운영하고 있으며 활발하게 대중과 소통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비블록은 영화에서 얻은 수익을 창작자와 자막 제작자에게 합리적인 비율로 분배하고 유료로 판매되는 영화 또는 광고가 포함된 무료 영화에서 발생되는 수익은 7:3으로 분배된다고 한다. 창작자는 7월 가져가게 되고 무비블록은 서비스 운영을 위한 비용으로 3을 받는 것으로 파악된다. 자막 제작자는 창작자가 더 많은 수익을 올리는데 크게 기여하기 때문에 창작자의 수익 중 5%를 받게 된다. 특정 언어의 자막이 영화와 함께 재생된 경우에 적용되는 것 같다. 무비블록은 블록체인 기술로 대기업에 의해 연극 및 홈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지배로 인한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제작자는 투명한 수익 공유, 잠재 고객 데이터 및 동등한 심사 기회를 얻게 된다. 시청자는 다양한 영화와 콘텐츠에 액세스하고 생테계에 큐레이션, 자막 및 마케팅 자료를 제공한 것으로 보상을 받는 구조이다.
무비블록의 특징
무비블록 아키텍처는 블록체인의 보안 안정성, 확장성,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세개의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으니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애플리캐이션 레이어이다. 사용자들의 진입점인 애플리캐이션 레이어는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고 플랫폼에 참가와 정보교환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해당 레이어는 사용자들이 실행 가능한 애플리캐이션과 키 정보 관리를 위한 월렛 모듈을 사용하고 있다. 두 번째는 서비스 레이어다. 서비스 레이어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와 Decenteralized core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서비스상의 대부분의 정보가 이곳 서비스 레이어에 저장된다고 보면 될 것이다. 세 번째는 앞서 말한 Decenteralized core이다. 플랫폼 참여자 간 발생하는 토큰 플로우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무비블록에 등록되는 콘텐츠 및 관련한 모든 데이터가 블록체인 상에 기록된다고 한다.
무비블록의 평가 및 전망
무비블록은 다양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는 곳은 업비트이고 그다음으로 바이낸스, 빗썸에서 거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비블록은 국내 프로젝트 중 아이콘에 이어 두 번째로 바이낸스 거래소에 상장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무비블럭은 2019년 5월 중국 게이트 아이오 거래소에 처음 상장된 이후 현재 바이낸스 외에도 다양한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무비블록은 칸, 오스카, 토리노 등 9개 국제 영화제 선정작 보유 배급사인 오리진 필름과 협약을 맺었다. 플레이 댑의 스캠 지수는 그리 좋치는 않다. 10점 만점에 3.4점으로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니 매수 시 고려하시는 게 좋을 듯하다. 하지만 다양한 파트너십을 맺고 있기도 하다. 페이스북, 삼성, 라인 등과 하고 있으며 한국 최초 코인베이스 상장이라는 큰 업적도 가지고 있는 김치 코인이다. 개발자들도 개발을 멈추지 않고 열심히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업데이트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니 하락장에 매수해볼 만한 매력이 충분히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튜브(FOR),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 플랫폼 (0) | 2022.09.02 |
---|---|
스택스(STX), 미국 역사상 최초의 SEC인증 토큰 (2) | 2022.08.29 |
엔진(ENJ), 게임 개발자들을 위한 서비스 (1) | 2022.08.22 |
웨이브(WAVES), 블록체인 클라우드 펀딩플랫폼 (1) | 2022.08.19 |
비트토렌트(BTT), 세계 최대 파일 공유 시스템의 보상 (0) | 2022.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