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택스(STX) 토큰은 블록 스택의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스마트 컨트랙트와 디앱개발이 가능하도록 한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 트랜잭션을 처리하거나 스마트 컨트랙트의 수수료로써 지불되며, 스택스의 채굴자나 앱 개발자에게 보상으로 주어진다고 한다. 지금부터 스택스(STX)에 대하여 알아본다.
스택스(STX) 간단 소개
스택스(STX) 코인은 총발행한도 1,818,000,000개로 2022년 8월 28일 기준으로 약 6502억 원의 시가총액으로 추정된다. 연관 인덱스는 스마트 컨트랙으로 분류되어 있다. 2020년 10월경 블록 스택에서 브랜드를 변경하여 현재 스택스 또는 스택이라고 부른다. 블록 스택은 회사 이름을 스택스로 변경하고 네트워크용 개발자 도구를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도록 설계하고 있다. 2021년 1월경 출시된 메인 넷 스택스 2.0은 전송 증명을 사용하여 블록을 채굴하는 최초의 블록체인이며, 미국 역사상 최초의 SEC 인증 토큰 오퍼링을 통해 일반 대중에게 배포되었다고 전해진다. 스택스 코인은 스마트 계약 및 분산 애플리케이션(디앱)을 비트코인으로 가져오도록 설계된 레이어 1 블록체인 설루션이라고 할 수 있다. 스택스 플랫폼에서 개발된 스마트 계약 및 앱은 비트코인의 보안 및 안전성을 변경하지 않고 비트코인으로 가져오며, 스택스는 비트코인을 기본 레이어로 사용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가장 안전한 블록체인인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결정되게 설계되었다. 스택스 코인은 생성된 모든 블록의 기록이 비트코인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유한 마이닝 알고리즘을 갖췄다. 비트코인 블록당 최대 1개의 스택 블록이 채굴되고 경쟁이 있을 경우 암호화 분류 과정을 통해 무작위로 당첨 스택 블록이 선택되도록 하였다. 스택스 채굴자는 다른 채굴자에 비해 더 많은 BTC를 보내면 이길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스택스와 같은 팍스 체인은 비트코인과 별개로 자체 안전 및 활성 보장을 통해 나카모토 합의의 변형을 구현시켰다. 이러한 속성은 레이어 2 시스템, 병합 채굴 등과 구별되는 것이다.
스택스 코인의 특징
스택스 코인의 특징은 다양하다. 먼저 스테이 킹이다. 스낵스는 스테이 킹을 통해 보상으로 스택스가 아닌 비트코인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스테이킹을 통해 비트코인을 얻을 수 있다니 채굴에 관심을 가질 요소중 하나로 생각된다. 다음으로는 전송 증명을 말할 수 있다. 팍스 합의는 두 블록체인 간의 합의를 아우르는 새로운 알고리즘이고 팍스 마이닝은 Pow와 마찬가지로 단일 리더 마이닝을 한 형태로 알려졌다. 팍스는 다른 블록체인의 다른 암호화폐를 미리 결정된 주소목록으로 전송하여 블록 생산자를 선택하는 새로운 마이닝 프로토콜이다. 스택스 2.0에서는 비트코인을 스택스 토큰 보유자가 주기적으로 설정하는 비트코인 주소로 전송되게 설계되었다. 채굴자는 지분 증명과 달리 스택스를 보유할 필요가 없으며 채굴자는 작업 증명과 달리 특수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다. 블록 생산자가 되기 위한 유일한 진입 장벽은 비트코인을 획득하고 사용해야만 한다. 스택스는 페이 코인과 협력하여 페이 코인 앱 내에서 결재 암호화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협업이 되어 있다. 페이 코인 앱에서 결재 가능한 가맹점은 세븐일레븐, KFC, 도미노피자, 등 70,000개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초기 지갑 통합 직후 사용자는 앱에서 스택스 보유량에 대한 비트 코인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스택스의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가이아는 스택스가 확장성과 사용자 보안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해준다. 클라우드 제공업체나 로컬 서버 등 개인 암호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해당 정보는 저장 시 암호화되며 사용자가 암호화 키를 통해 승인을 제공하는 경우에만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스택스의 평가 및 전망
스택스는 다양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제일 거래량이 많은 거래소는 한국의 업비트이며 오케이 엑스, 바이낸스 등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이러한 스택스의 스캠 스코어는 10점 만점에 5.5점을 획득하고 있는데 10점에 가까울수록 좋은 코인 아라고 평가하는데 어느 정도 평균을 유지하는 것 같다. 플립사이드 크립토의 평가는 A등급으로 770점 이상의 점수를 획득하고 있다. 토큰 인사이트의 평가도 BB등급으로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코인이다. 스택스는 다양한 공시를 통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보안성을 문제로 비트코인 네트워크에는 프로그래밍을 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하였다는데 높은 평가를 주는 것 같다. 여려 유명 벤처캐피털로부터 투자를 유치받았으며 2021년에는 스택스의 발행사인 블록 스택이 미국 증권시장에 상장하는 등 블록 스택은 그 가치를 인정 받아가고 있다. 앞으로 블록스택은 분산 컴퓨터 시대를 위해 프로토콜과 디앱을 추가적을 보완해 나가며 스택스의 활용범위를 넓힐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워렛저(POWR), 에너지 거래 플랫폼 (1) | 2022.09.05 |
---|---|
포튜브(FOR),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 플랫폼 (0) | 2022.09.02 |
무비블록(MBL), 참여자 중심의 영화 생태계 (0) | 2022.08.25 |
엔진(ENJ), 게임 개발자들을 위한 서비스 (1) | 2022.08.22 |
웨이브(WAVES), 블록체인 클라우드 펀딩플랫폼 (1) | 2022.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