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웨이브(WAVES), 블록체인 클라우드 펀딩플랫폼

by 빠삭정보남 2022. 8. 19.

웨이브(WAVES)는 궁극적으로 블록체인 클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디지털 자산의 개발 , 전송, 거래를 위한 플랫폼으로서 자체 내장된 P2P 방식의 디지털 자산 거래 기능을 통해 탈중앙 거래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지털 자산의 거래도 지원하고 있다. 지금부터 웨이브에 대하여 알아본다.

웨이브(WAVES) 코인 소개

웨이브 코인의 심볼은 WAVES이며 2019년 공급한도를 해제해서 발행량의 제한이 없는 코인이다. 2022년 8월 19일 현재 시가총액은 7555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더리움 기반 ERC-20 코인으로 웹 3.0용 개방형 블록체인 프로토콜 개발도구 세트로 분산 애플리케이션 및 스마트 계약을 포함한 다양한 사용 사례를 지원하는 다목적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말할 수 있다. IT 시스템의 보안, 안정성, 속도 향상 및 누구나 자신의 앱을 구축하여 블록체인의 대량 채택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 2016년 우크라이나 태생의 과학자 알렉산더 사샤 이바노프가 스칼라와 자바스크립트 언어로 웨이브를 개발하였다. 웨이브를 만들기 전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인스턴트 교환 코인맷 및 인덱싱 사이트 cooleindex를 출시 한 암호화폐 공간에서 이미 활동을 하고 있었는데 그는 또한 미국 달러에 연결된 스테이블 코인 coinoUSD의 초기 버전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웨이브의 마케팅 문헌에 따르면 현재 모스크바와 스위스를 포함한 지역에서 18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웨이프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이라고도 말할 수 있겠다.

웨이브 코인의 특성

웨이브는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더리움 같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쓰지만 좀더 간단하게 구현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더리움의 경우는 world's computer라는 수식어에서 알 수 있듯이 플랫폼 위에서 모든 것이 구동되지만 웨이브는 플러그인 방법으로 운영되어 소프트웨어와 웨이브 위에 지어지는 게 아니라 웨이브 플랫폼에서만 상호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웨이브는 코인을 채굴할 수 있다. 리스 지분 증명 알고리즘을 이용한 채굴 방식을 사용하여 보유하고 있는 웨이브 코인의 수에 따라 채굴이 이루어지게 되게 설계되었다. 따라서 더많은 코인을 보유할수록 더 많은 보상을 얻게 되는 것이고 이는 이자 수익을 얻는것과 같은 구조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웨이브는 웨이프 블랫폼에서 코인 임대 기능을 사용 할 수 있는데  경량 클라이언트 내에 구현하여 블록체인을 다운받거나 복잡한 기술적 지식 없이도 모든 이용자들이 네트워크 보안에 참여하고 그에 대한 트랜잭션 수수료를 보상받을 수 있도로 설계 되었다. 또한 임대된 웨이브 코인은 계정 소유자의 통제하에 있게 되어 언제든 환전 및 송금할 수 있으며 웨이브 코인 임대를 통해 코인 보유자는 MRT을 보상받을 수 있다. 웨이브에서 속도와 보안을 염두에 두고 스마트 계약을 작성하기 위해 자체 라이드 프로그래밍 언어가 포함되어 있으며 게임을 위한 아이템 시장 생성 및 투표 등 배포하기 쉬운 설루션을 제공해준다. 또한 크라우드펀딩이라는 특성도 있는데 웨이브 플랫폼은 기업의 주식이나 자산에 쉽게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고 있다. 투자금을 빼서 이전할 수도 있고 캠페인을 시작하는 속도가 더 빠르고 수수료도 낮기 때문에  킥스타터와 같은 기존 크라우딩 플랫폼보다 비교우위에 있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웨이브의 평가 및 향후 전망

웨이브는 다양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바이낸스, 크라켄, 업비트 등 대형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기도 하다. 평가 기간인 플립 사이트 크립토의 점수는 806점으로 A등급으로 매우 준수한 성적을 가지고 있으며 토큰 인사이트는 BB등급으로 책정되어 안정적인 전망이라는 평가도 받고 있다. 과거 1억 개의 발행한도 제한을 두고 있었지만 현재는 무제한 발행으로 기준이 바뀌었기 때문에 채굴량에 비례해 가치의 상대성도 한번 따져보아야 할 문제일 것이다. 싱가포르 정부의 디지털 자산 판매 플랫폼을 구축 프로젝트, 러시아 중앙 예탁결제기관의 디지털 자산 지원 플랫폼을 개발하여 참여하였거 러시아 버거킹 등과도 제휴를 맺고 있는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과거 러시아 코인이라는 평가를 받는 게 전쟁 전이였다면 나쁘지 않았을지 모르지만 현재 러시아 경제는 고립으로 가고 있는 실정에서 웨이브로의 투자는 고려해봐야 하지 않을까라는 추측을 해본다. 이러한 웨이브는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전 세계로의 확장을 계획하고 있기에 다른 여러 기회가 있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