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센티넬프로토콜(UPP), 디지털 자산 보안 프로젝트

by 빠삭정보남 2022. 8. 19.

센티넬프로토콜(UPP)은 디지털 자산 보안 프로젝트로서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의 집단지성 방식으로 해킹, 스팸, 사기 건에 대한 선제적인 방어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안전문가들의 검증으로 만들어진 프로젝트인 센티넬 프로토콜 코인에 대하여 알아본다.

센티넬 프로토콜(UPP) 소개

센티넬 프로토콜의 심볼은 UPP이며 2018년 05월경 최초로 발행되었다. 2022년 8월 19일 현재 기준으로 약 478억 원의 시가총액을 유지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를 한 줄로 요약하면 보안에 특화되었다는 것이다. 센티넬 프로토콜은 웁살라 시큐리티 회사가 개발하였다. 코인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는 김형우(패트릭 김)이고 부회장은 존 커크로 알려졌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한국 서울과 일본 도쿄에 지사를 두고 운영 중이다. UPP코인은 웁살라 시큐리티의 가상자산 보안 프로젝트인 센티넬 프로토콜에서 발행하는 유틸리티 토큰으로서 AML 보안 설루션을 구입하는 기업 등에 지불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sentine protocol은 세계 최초의 크라우드 소싱 위협 평판 데이터베이스(TRDB) 플랫폼이다. 블록체인의 분권화 및 집단지성을 활용한 보안기술을 통해 사이버 세계를 보호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과 조지게서 사이버 보안 설루션을 제시함으로써 악의적인 위협과 공격 및 사기 거래로부터 소중한 디지털 자산을 보호하는 것을 지향한다. TRDB에 보안 위협 정보를 제공한 기업, 개인 및 정부조직 등 사용자에게 UPP코인을 인센티브로 제공하는 보상시스템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센티넬 프로토콜이 만들어가는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조성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에서 작동하는 센티넬 프로토콜은 집단 사이버 보안 인텔리전스를 활용하여 해커, 사기 및 스캠으로부터 암호화 자산을 보호한다. 블록체인 보안, IT 보안, 사이버 보안, 블록체인 기술, 집단 인텔리전스, 보안 인텔리전스, 사기 탐지 시스템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 및 제품을 출시 중이다.

센티넬 프로토콜의 특징

센티넬 프로토콜의 특징을 2가지로 요약해보고자 한다. 먼저 보안 기능이다. 블록체인을 위한 보안 지능형 플랫폼인 Security intelligence platform for blockchain(SIPB 또는 sentinel protocol)은 다음 세 종류의 보안 기능을 보유하게 된다.

위협 평판 데이터베이서, 머신러닝 엔진 통합형 보안 지갑, 분산 말웨어 분석 샌드박스가 그것이다. 여기서 위협 평판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알아보자. TRDB라고도 말하며 이는 암호화폐 거래소, 지갑, 트위터, 결제 서비스, IT 및 사이버 보안 회사 등 다양한 소스로부터 검증된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보안정보를 저장한다. TRDB는 화이트리스트와 블랙리스트의 형태로 구분하여 저장하는데 암호화폐 거래소의 경우 TRDB와 CATV를 활용하여 도난당한 암호화폐를 추적하고 거래 위험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보안 규정을 준수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기 및 해킹과 관련된 악성 지갑 주소뿐만 아니라 보이스피싱 등과 같은 온라인상의 악의적 활동으로부터 디지털 자산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두 번째 특징은 인센티브 시스템을 말할 수 있다. 센티넬 프로토콜은 중압 집권화된 지침이나 조직을 필요로 하지 않고 참여자가 스스로 공헌도를 높이고 기여도에 따라 보상받는 자급자족 형태의 사이버 보안 생태계이다. 실효성 있는 사이버 보안 생태계로서 보안 위협에 대한 가능한 최적의 도구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고 그에 따른 직접 지불을 위해 교환 가능한 암호화폐를 필요로 하게 된다. 더불어 사이버 보안 생태계를 지속 성장시키기 위해서 개인별 기여도를 나타내는 독립적인 가치도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게 되는 것이 센티넬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국가 및 활용 전망

센티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국가는 다양하다. 현재 제휴되어 있는 국가는 대한민국, 노르웨이, 독일, 루마니아, 브라질, 미국, 스위스 등 다양한 선진국들에게 지원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의 블록체인 월렛에도 통합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도 있다. 보안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에 머신러닝을 활용하는 것은 효과적이지만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확률에 따른 판단을 근거로 하기 때문에 보안 위협 식별에 한계가 있다고도 전해진다. 센티넬 프로토콜의 블록체인을 활용한 집단 지성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향후 센티넬 프로토콜의 기술이 디지털 자산 거래소, 개인 거래 등의 전방위적인 적용이 된다면 높은 수준의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며 사용자들은 보다 안전된 자산운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