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20

플레이댑(PLA), 블록체인 기반 게임 플랫폼 플레이댑(PLA)은 블록체인 기반 게임 플랫폼으로서 전 세계 게임 유저들의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 편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플레이댑 토큰(PLA)을 통해 게이머들은 게임 내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온전히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플레이댑 생태계 운영에 참여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다. 플레이댑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플레이댑 소개 플레이댑 코인의 심볼은 PLA이며 총 발행한도는 700,000,000개이다. 2022년 8월 18일 현재의 시가총액은 약 2456억이다.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연관 인덱스에 묶여 있다. 이더리움 기반 ERC-20 유틸리티 토큰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장착한 게임 서비스 플랫폼이다. 블록체인 공공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바탕으로 개발된 디앱 게임을 서비스하고 게임 간 .. 2022. 8. 18.
에스티피(STPT), 스마트 계약 플랫폼 에스티피(STPT)는 자산 토큰화 표준 프로토콜로 사용자들이 개인의 자산을 토큰화 할 수 있는 스마트 계약 플랫폼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에스티피 토큰은 에스티피 네트워크에 블록체인 사업과 관련된 다양한 네트워크 사용비용에 결제되는 유틸리티 토큰으로 사용된다. 삼성 블록체인 생태계에도 합류한 에스티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에스티피(STPT)란 무엇인가? 에스티피의 심볼은 STPT이다. 총 발행 한도는 1,942,420,283개이다. 시가 총액은 2022년 8월 17일 기준 약 1140억 원으로 추정된다. 에스티피는 발행자가 전 서계 여러 관할 구역에서 규정을 준수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토큰화 할 수 있는 스마트 계약 플랫폼(가상자산 발행 및 거래 플랫폼)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티피 프로토콜을 통해 스테.. 2022. 8. 17.
디센트럴랜드(MANA), 디지털 땅을 소유하다. 디센트럴랜드(MANA)는 가상세계의 디지털 땅을 소유하면서 얻는 보상이다.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한 가상현실 플랫폼으로서 사용자들은 디센트럴랜드 생태계 내에서 가상 토지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거래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토지는 NFT로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며 관련 인덱스에도 포함되어있다. 디센트럴랜드에 대하여 알아본다. 디센트럴랜드(MANA)는 무엇인가? 디센트럴랜드의 심볼은 MANA이다. 총발행 한도는 2,193,570,827이며 2017년 9월경 최초 발행되었다. 현재 시가총액은 2022년 8월 16일 기준 약 2.5조 원에 이른다. 시총 규모에 맞게 상장도 대형 거래소(바이낸스, 코인베이스, 업비트) 등에 고루 상장되어있다. 디센트럴랜드는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한 가상현실 플랫폼이다. 이곳에서는 콘텐츠.. 2022. 8. 16.
위믹스(WEMIX), 게임 생태계 플랫폼 위믹스(WEMIX)는 한국에서 잘 알려진 위메이드의 자회사 위메이드 트리에 의해 개발된 플랫폼이다. 다양한 게임을 출시한 위메이드에 실질적으로 거래할 수 있는 토큰으로도 사용되며 위믹스 월렛, NFT마켓플레이스 등 다양한 곳에서 서비스가 진행된다. 위믹스에 대하여 알아본다. 위믹스(WEMIX)는 무엇인가? 위믹스의 심볼은 WEMIX이다. 총 발행한도는 1,015,055,200개이며 시가총액은 2022년 08월 16일을 기준으로 약 4321억 원으로 추정된다. 빗썸, 업비트 등 대형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위믹스는 블록체인 기반 게임과 디앱에 높은 가스요금이나 낮은 거래 속도처럼 장벽 없이 실행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생태계다. 위믹스는 프라이빗 및 퍼블릭 블록체인 기능이.. 2022. 8. 16.